특수교육 : 학습장애아동(1)
특수교육 : 학습장애아동(1)
학습장애
-개인의 내적요인으로 인하여 듣기, 말하기, 주의집중, 지각, 기억, 문제해결등의 학습기능이나 읽기, 쓰기, 수학 등 학업 성취 영역에서 현저하게 어려움이 있는 사람(장애인 등에 의한 특수교육법)
-학습장애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추론하기 및 수학능력의 습득과 사용에 있어서의 심각한 어려움을 나타내는 장애 집단을 칭한다. 개인 내적으로 발생하며 중추신경계의 기능 장애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고 일생에 걸쳐 나타날수도 있다. 자기조절행동, 사회적 지각, 사회적 상호작용등에 있어서의 문제가 학습장애와 함께 나타날 수도 있지만 이러한 특성만으로는 학습장애로 판별되지 않는다.(학습장애공동협회)
-평균적 지적지능을 가지고 있지만 학습에 심각한 문제를 지니는 아동. 환경 및 정서 요인으로 인한 학습부진과는 다름
학습장애 판별법
-전통적인 방법인 '능력-성취 불일치 모델'과 대안적인 방법인 '중재반응모형'을 함께 사용하여 판별함
-능력 성취 불일치 모델: 지능검사와 학업성취도에서 2년 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경우 학습장애로 판별
-중재반응모형: 다단계 교수 접근을 통해 과학적으로 입증된 교수적 실제를 적용했음에도 성취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 학습장애로 판별. 다양한 교수방법을 시도함으로써 과잉 오진단 최소화
학습장애의 원인
1. 신경학적 요인
-학습장애는 1차적으로 중추신경체계의 기능 이상을 원인으로 봄
-일반학생과 학습장애학생은 대부분 두뇌의 구조와 기능에서 차이를 보이나 모든 학습장애학생이 두뇌의 이상을 보이는 것은 아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음
2. 유전적 요인
-학습장애는 유전되는 경향이 있으나 환경적 영향과 완전한 구분이 어려움
3. 환경적 요인
-빈약한 환경, 부적절한 영양, 부적절한 교수 등을 겪은 학생에게 학습장애가 일어날 확률이 높음.
-최근 환경적 요인이 신경학적 기능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됨
학습장애아동의 특성
1. 부진한 학업성취
2. 사회-정서적 결함
-학습장애로 인한 낮은 자존감, 빈약한 자아개념으로 학습된 무력감을 보임
-사회적 인지능력에 결함을 보임
3. 주의집중 및 과잉행동
-학습장애아동의 경우 높은 확률로 ADHD를 동반함
4. 지각장애
-시각, 청각, 촉각 드의 자극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결함을 나타냄
5. 인지 및 기억력 결함
-초인지의 결함을 보임
6. 동기의 부재
-지속적인 실패로 인한 학습된 무력감이 동기의 부재로 이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