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특수교육

지체장애 : 정의, 원인, 질병, 특성, 교육법

디오1 2024. 2. 15. 15:14
반응형

 

지체장애의 정의

1. 장애인 교육법

교육적 성취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정형외과적 손상, 선천적 기형, 질병에 의한 손상, 기타 원인에 의한 손상을 가지고 있는 사람.

 

2.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신체기능 및 형태상 장애를 갖고 있거나 몸을 지탱하거나 팔다리의 움직임의 어려움으로 인해 교육적 성취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뇌병변장애를 포함함

 

*장애인 복지법에서는 지체장애와 뇌변병장애를 별도의 장애유형으로 구분함

 

 

지체장애의 원인 및 질병

정형외과적 손상, 선천적 기형, 질병 등의 이유로 발생함

 

1. 뇌성마비

뇌의 손상으로 신체 부위의 마비와 운동능력장애를 갖는 사람으로 만 2세 이전 발생함. 형태에 따라 경직형, 불수의운동형, 운동실조형, 혼합형으로 구분됨

2. 근이영양증

근육세포가 지방빌로 변해가면서 기능을 멈추게되는 질병

3. 이분척추

척추뼈가 닫히지 않은채 태어나는 장애. 심하지 않은 경우 치료가 가능하나 심한 경우 마비현상이 일어남

4. 골 형성 부전증

뼈가 약해 다발적으로 골절이 발생하는 유전질환

5. 선천적 기형, 소아관절염 등의 질병

 

 

지체장애의 특성

-지체장애의 유형에 따라 지능 및 학업성취 정도가 다양하며 장기적인 결석이 학업 저성취의 원인이 되기도 함

-지속적 치료, 고통 등이 정서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

-운동발달을 위한 조기 물리치료가 강조됨

 

 

지체장애아동의 교육법

-장애아동의 이해가 중요하며 아동의 필요를 파악하여 교수전략 및 물리적 환경을 제공해야 함

-지나친 과보호 보다는 독립성을 증진하는 것이 중요

-다양한 보조공학기기 및 보조공학 서비스 제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