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특수교육

문제행동지도와 긍정적 행동 지원(PBS)

디오1 2024. 2. 28. 11:31
반응형

문제행동지도와 긍정적 행동 지원(PBS)

 

특수교육에서의 문제행동지도

특수교육대상 아동의 문제행동은 학급 운영 및 학업 성취를 방해하여 통합교육에 대한 부정적 견해로 이어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문제행동의 발생에 대한 예방 및 지원이 필요함

 

 

문제행동의 기능

-관심꿀기

-회피하기

-물건얻기

-자기조절

-놀이오락

 

문제행동의 기능 및 원인을 알아내어 중재를 적용해야 한다.

 

 

문제행동의 지도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을 제거해야 함

-학급규칙 사용

-문제행동 예방 및 감소를 위한 교수 환경 구성

 

 

긍정적 행동 지원(PBS)

-아동의 인권을 존중하여 인간 중심의 가치를 반영하는 행동 중재

 

-아동의 기본적인 삶의 목표를 성취하는데 방해가 되는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이러하 목표를 성취하는데 필요한 물리적, 사회적, 교육적, 의학적, 기술적 지원을 제공하는 접근방법

 

-대표적인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은 3층식 예방 모델이 있음

 

 

긍정적 행동 지원(PBS) 단계

1. 문제행동의 식별 및 정의

식별된 문제행동을 분명하게 정의해야 하며 문제행동에 따라 순위를 정한다.(파괴행동-방해행동-경미한 방해행동 순)

 

2. 문제행동의 원인 및 기능 진단

문제행동의 이유와 기능을 정확하게 판별하기 위해 문제행동에 대한 전반적 정보 및 특정 정보를 수집한다. 주로 ABC기법을 사용함

 

3. 가설 수립

특정 선행사건 및 배경사건을 제시하고 문제행동과 해당 문제행동의 기능을 설명한다.

 

4. 행동지원 계획 수립

행동지원의 계획에는 배경/선행사건의 수정 혹은 제거, 대체 행동 교수, 문제행동에 대한 결과 제거, 문제행동 아동에 대한 지속적 지원 등이 포함된다.

 

5. 계획의 실행

 

6. 평가

 

7. 수정

 

 

행동지도를 위한 자료수집 및 분석

수집된 자료를 통해 아동의 현행수준을 결정하고 후속결과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행동지원 계획을 위한 자료 수집 및 분석은 절차를 통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1. 목표 행동의 식별 및 정의

주로 행동관찰법인 ABC 분석을 사용한다.

 

2. 측정 방법의 선정

행동유형에 따라 시험지/과제분석, 빈도 기록법, 지속시간 기록법, 등간 기록법 등이 사용된다.

 

3. 관찰자 및 관찰시간 결정

 

4. 기초선 자료수집 및 분석

기초선 자료는 교수시작 전 일반적인 상황에서 수집되어야 한다.

 

5. 교수자료 수집 및 분석

 

 

중재전략의 예시

-물리적 조직화, 시각적 스케줄 제공, 활동체계 제공 등 교수방법의 구조화

-규칙세우기

-토큰 경제

-체크리스트 작성

-행동 계약 작성

-보완대체의사소통

-소거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