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청각장애(1) : 정의, 원인, 분류
청각장애의 정의
-들을 수 있는 소리의 강도가 낮아 일상생활이 어려운 사람
-청력 손실에 따라 청각장애, 농, 난청으로 구분됨
1. 장애인 복지법
-두 귀의 청려손실이 각각 50db 이상인 자
-한 귀의 청력손실이 80db이상, 다른 귀의 청력손실이 40db 이상인 자
-두 귀에 들리는 보통 말소리의 명료도가 50%이하인 자
2.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욱법
청각을 통한 일반적인 일상생활, 의사소통이 불가하여 교육적 성취가 어려운 사람
청각장애의 분류 및 원인
1. 청각기관의 손상
-전음성 청각장애 : 외이 혹은 중이에 이상이 있는 경우. 비교적 경도에 해당하며 보청기 등을 통해 교정 가능
-감음신경성 청각장애: 내이나 청신경에 이상이 있는 경우. 청력손실 정도가 심해 치료가 어려움
-혼합성 청각장애: 전음성 청각장애와 감음신경성 청각장애가 복합적으로 나타남
2. 청각중추의 손상
뇌막염, 뇌의 산소부족, 조산, 임신 중 약물 등의 원인으로 발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