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직/교육평가13

교육평가 : 타당도 교육평가 : 타당도 타당도 -평가도구가 측정대상의 측정하고자 하는 특성을 정확히 측정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도를 나타냄 -신뢰도는 타당도의 필요조건 타당도의 종류 1. 준거타당도 -평가 내용에 대해 일관적인 결과를 보여주는지에 대한 타당도 검사 -예언타당도/공인타당도 2. 안면타당도 -일반인이 보았을때 해당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잘 측정하고 있는것으로 보이는지에 대한 타당도 검사 3. 내용 타당도 -평가 내용이 측정대상의 내용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타당도 검사 4. 결과타당도 -평가결과의 평가목적과의 부합성, 결과의 영향 등을 고려하여 평가결과와 타 변인들의 관계를 해석하여 타당도 검사 5. 구인타당도 -측정하고자하는 구인에 대한 정의를 내린 뒤, 해당 검사가 정의된 구인을 제대로 측정하고.. 2023. 11. 21.
교육평가 : 신뢰도 교육평가 : 신뢰도 신뢰도 -평가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얼마나 일관성있게 측정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도 -신뢰도가 0.7이상일때 신뢰롭다고 판단함 신뢰도 추정방법 1. 검사-재검사 신뢰도 -같은 검사를 동일 피험자에게 시간간격을 두고 실시하여 두 검사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방법 -반응민감성효과, 이월효과, 성숙효과 등의 우려가 있음 2. 동형검사 신뢰도 -동형의 검사를 동일 피험자에게 시간간격 없이 실시하여 두 검사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방법 -동형검사 제작이 어려운것이 단점 3. 반분 신뢰도 -하나의 검사를 두 부분으로(전/후, 홀/짝 등)으로 나누어 두 검사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방법 -검사를 분할하는 방법에 따라 신뢰도에 영향을 받음 4. 크론박 알파 계수 -검사 문항 각각의 공분산을 구하.. 2023. 11. 20.
교육평가 : 학습자중심수업과 학습목표 교육평가 : 학습자중심수업과 학습목표 학습자중심수업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학습자의 경험을 강조함 -학습자가 학습의 목표설정에 참여함은 물론 학습과정에도 능동적으로 참여함 -학습의 평가에 학습과정을 포함함 -발견학습, 문제중심학습, 토의법, 협동학습 등 학습목표 -학습목표는 교육목표, 성취기준, 교수목표를 모두 고려해야함 -평가방법은 학습목표를 반영하여야함 2023. 11. 15.
교육평가 : 교실평가의 동향 교육평가 : 교실평가의 동향 교실평가 -교실평가는 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 및 기술, 인지 사회문화적 학습, 교육적 성취기준 등의 영향을 받음 -21세기 핵심역량: 인지적기술, 혁신적 사고, 의사소통 기술, 사회적 기술, 글로벌 시각 등 -교실평가는 교실 내 수업의 모든 측면과 연계되어야 효과적으로 작용함 교실평가의 동향 1. 학습전이 및 능동적 학습, 자기조절능력, 자아효능감 강조 2. 학생의 능동적 평가 강조 3. 지식과 기술의 적용과 활용을 함께 고려함 2023. 11.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