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6

교육평가 : 신뢰도 교육평가 : 신뢰도 신뢰도 -평가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얼마나 일관성있게 측정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도 -신뢰도가 0.7이상일때 신뢰롭다고 판단함 신뢰도 추정방법 1. 검사-재검사 신뢰도 -같은 검사를 동일 피험자에게 시간간격을 두고 실시하여 두 검사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방법 -반응민감성효과, 이월효과, 성숙효과 등의 우려가 있음 2. 동형검사 신뢰도 -동형의 검사를 동일 피험자에게 시간간격 없이 실시하여 두 검사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방법 -동형검사 제작이 어려운것이 단점 3. 반분 신뢰도 -하나의 검사를 두 부분으로(전/후, 홀/짝 등)으로 나누어 두 검사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방법 -검사를 분할하는 방법에 따라 신뢰도에 영향을 받음 4. 크론박 알파 계수 -검사 문항 각각의 공분산을 구하.. 2023. 11. 20.
교육평가 : 학습자중심수업과 학습목표 교육평가 : 학습자중심수업과 학습목표 학습자중심수업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학습자의 경험을 강조함 -학습자가 학습의 목표설정에 참여함은 물론 학습과정에도 능동적으로 참여함 -학습의 평가에 학습과정을 포함함 -발견학습, 문제중심학습, 토의법, 협동학습 등 학습목표 -학습목표는 교육목표, 성취기준, 교수목표를 모두 고려해야함 -평가방법은 학습목표를 반영하여야함 2023. 11. 15.
교육평가 : 교실평가의 동향 교육평가 : 교실평가의 동향 교실평가 -교실평가는 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 및 기술, 인지 사회문화적 학습, 교육적 성취기준 등의 영향을 받음 -21세기 핵심역량: 인지적기술, 혁신적 사고, 의사소통 기술, 사회적 기술, 글로벌 시각 등 -교실평가는 교실 내 수업의 모든 측면과 연계되어야 효과적으로 작용함 교실평가의 동향 1. 학습전이 및 능동적 학습, 자기조절능력, 자아효능감 강조 2. 학생의 능동적 평가 강조 3. 지식과 기술의 적용과 활용을 함께 고려함 2023. 11. 14.
교육평가 : 평가의 절차 및 방법 교육평가 : 평가의 절차 및 방법 교육평가의 절차 1. 평가 목적/기능/대상 설정 2. 평가 내용과 영역의 구체화 3. 평가 방법 선정 및 도구 개발 4. 평가 시행 계획 수립 5. 평가 시행 6. 평가 결과 도출 7. 평과 결과 보고 및 활용 교육평가의 방법 -학급 내 퀴즈, 학급 내 수행평가, 대학입시 토론 및 논술, 대학수학능력시험 등 -지필평가/수행평가, 맥락화/표준화를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음 -평가 문항의 충족해야하는 요건: 복합성, 참신성, 비차별/비편파성, 요약성, 평가내용과 문항간의 일치성 수행평가 -학습자의 수행과정과 결과를 가지고 평가하는 방법 -실제 모의평가, 실습, 면접,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서술형 등 2023. 11. 13.
반응형